본문 바로가기

투자 | 제테크 경제상식/타당성 분석3

재무적 타당성 분석 (재무성 분석), 수업내용 정리 재무적 타당성 분석 (재무성 분석), 수업내용 정리 정부: 불변 금액 (인플레이션 영향 제거) - 세금: 경상/불변 따지지 않는다. - 채권발행: 불변 의미 없음 (물가 리스크 안고 가는 것) - 총사업비, 총민간사업비, 불변사용료, 실질사업수익률 등이 불변개념임 회사(사업자): 경상금액 - 상기 불변금액에 물가를 반영하여 투자비 조달계획 수립 후 Financing 실행 - 자금조달계획과 재무제표는 경상금액으로 작성 - 총투자비, 총민간투자비, 경상사용료, 경상사업수익률 등 경상개념 정부도 재무적 타당성 분석을 한다. 그래서, 해외사업을 하게 되면 해외 정부에서 정해주는 할인율이 있음 회사에서 재무성 타당성 분석을 할 때, 할인율은 사장님이 정하는데 정부에서 지정한 할인율과 비교해서 평가할 필요가 있음 .. 2019. 7. 28.
내부수익률 IRR (Internal Rate of Return) IRR, 사업의 경제성 판단 하기 위한 지표미래에 기대하는 수익률 or 사업으로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값을 0으로 만드는 값(즉, 순현재가치 기준에서 손해도 수익도 없는 (break-even상태의) 할인율)이므로 클수록 사업이 양호함을 의미 투자란 현재의 1원을 희생해서 미래의 (1 + r)원의 수익을 기대하는 행위 (r > 0) 이다. 즉, 미래 수익액 = 현재투자액 × (1 + r), [이때, r = 기간 수익률) 현재투자액 = 미래수익액 ÷ (1 + r), [이때, r = 기간 할인율) 로 나타낼 수 있다. r을 할인 (discount)율 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현재투자액을 미래회수액보다 (1 ÷ (1+r))배 작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미래에 현재에 비해 물가의 가치가.. 2019. 7. 28.
재무성 분석 VS 경제성 분석 사업타당성 평가에 있어 재무성 분석 VS 경제성 분석 ■ 경제성 분석: 공공사업의 비용과 편익을 국가 전체적(사회적) 입장에서 측정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 수익률을 계산하여 타당성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시설물 이용자의 시간 절감효과, 비용 절감효과 등을 편익으로 계상하여 분석함 ■ 재무성 분석: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화폐적 비용과 수입을 추정하여 사업의 bankability를 판단, 비용추정시 실제 부담하는 비용은 포함시킴 ■ 주된 차이 1. 비용,편익항목의 차이: 예를 들어 기업의 재무적 비용이 아닌 대기오염 등의 공해는 경제분석에서는 분명히 사회적 비용임 2. 목표의 상이성: 기업의 목표는 이윤의 극대화임, 국민경제의 궁극적 목표는 생활수준의 향상, 즉 국민복지의 증대임. 따라서 경제성 분석에서는 물질.. 2019.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