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 제테크 경제상식/M&A

M&A 2회 3교시

by 앵도1 2019. 7. 28.

M&A 2회 3교시


1. M&A 종류 3가지

1)수직적 M&A: 경쟁상대

2) 수평적 M&A: Value chain

3) 다각적 M&A: 신성장 동력


2. 입찰방식

1) 공개 경쟁입찰

2) 제한적 경쟁입찰

3) 수의계약

4) 하이브리드 (=stalking horse: 스토킹 호스, 위장용 말)

쉽게, 수의 가계약 후 경쟁입찰, 예비인수자에게는 우선매수권을 부여

FRR first refusal right 와 비슷한 개념

[절차] 예비인수자 선정 -> 예비인수자와 수의계약 -> 입찰결과가 수의계약 가격보다 높은가? -> 높다면, 예비인수자가 해당 가격으로 우선매수권 발동 (낫다면 예비인수자 기존 계약으로 인수) -> 행사할 경우 예비인수자가 입찰가격으로 인수 (포기할 경우 타 입찰자가 입찰 가격으로 인수)

보통 파산기업, 회생절차에 있는 기업을 매각하는 절차에 적용되었던 방식, 현재 현대중공업 딜에 적용됨


옛날 하이마트 History


하이마트는 원래 대우전자 전자제품 만을 전시하던 곳이었음

대우전자가 망하면서 하이마트로 바꿈, 타 브랜드 제품들을 비교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때마침 하이마트가 성공, 선종구 회장은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 (Affinity Equity Partners)에 지분을 넘기고 매각, CEO 위치는 유지

PE는 차입금 1조 원 가량 끌어옴, 하이마트 재무제표에 1조원 가량의 차임금이 생김

유진기업에 하이마트를 장부가격보다 1조 6천억 뻥튀기 (경영권 프리미엄, 영업권, goodwill) 해서 매각 ('08년)

당시 적자가 지속중이던 하이마트의 IPO를 추진 (당시 감사회사는 안진회계법인)

영업손실의 이유중 하나를 보면, 영업권을 20년간 상각한 비용의 비중이 컸음 = 1년 800억 발생 (일반기업 회계기준에서)

IFRS에서는 영업권의 가치 인정하고 있어 영업권 손상테스트를 실시하고 브랜드 가치가 유지되는 경우 영업권 상각 비용을 고려하지 않음. 

당시 하이마트 재무제표에 IFRS 적용 -> 흑자전환시키고 상장에 성공.

선종구 회장과 경영권 다툼이 생겨, 상호 경영권을 포기하고 롯데에 매각함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5/article_no/5394



[참조]

기획재정부에서 대한민국 국가의 재무제표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자산은

경부고속도로: 11조 억원

서해안고속도로: 5조 3천억원

'투자 | 제테크 경제상식 > 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 3회 3교시  (0) 2019.07.28
M&A 3회 1, 2교시  (0) 2019.07.28
M&A 2회 - 2교시  (0) 2019.07.28

댓글